본문 바로가기
과학상식

LIFE 상식 (24)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1. 11.

1.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청바지는 1940년경 미국에서 유행하여 전파되었으며 본래 용도는 작업용 바지였다. 샌프란시스코를 중신으로 일어난 골드러시 때 금광을 캐던 광부들이 주로 있었다. 이런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튼튼하다 못해 너무나도 질긴 청바지옷감은 원래 대형 천막의 재료였는데, 납품이 불발되어 남아돌게 된 재료로 바지를 만들어 판매한 것이 청바지의 시초가 되었다. 청바지는 이제 전 세계 남녀노소에게 사랑을 받으며, 평상복, 통학복, 레저웨어 등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청바지라는 명칭 자체가 파란색이라는 의미고, 영어로는 블루진이다. 사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데님이라고 불리는 면 소재의 천에 인디고라고 하는 파란색 염료로 물들여서 청바지가 제작되어서다. 인디고 염료는 여러식물로 만들어지며, 그 중 남아시아 원산인 인디고와 동아시아 쪽 유럽의 대청등이 대표적이다. 

세계적으로 인디고의 연간 생산량은 5만여톤인데, 그 중 95%가 데님 염색에 사용된다. 하지만, 이런 천연 염료만으로는 청바지 생산량을 감당할 수 없어서, 현재는 합성 염료가 주로 쓰인다. 청바지는 왜 파란색인지 의문점이 풀렸을 것이다.

2. 겨울철 에어캡을 창문에 붙이는 것은 이글루 효과다?

겨울철 뽁뽁이를 집 창문에 붙이는 집이 늘고 있다. 이것의 정식 명칭은 에어캡으로 이것을 창문에 붙이는 것만으로도 난방비를 최대 30%까지 절약할수 있다. 에어캡의 공기층이 열 전도율을 낮춰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냉기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유리보다는 공기가 열 전도율이 적어서 외부 차가운 기온이 유리창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에어캡의 공기층이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것은 극지방의 독특한 집 구조중 하나인 이글루에서 찾아볼수 있는 원리이다. 

눈과 물로 지어졌지만 놀랍게도 실내 온도는 평균 25℃를 유지한다고 한다. 지름 5m로 한 사람이 2시간이면 지을 수 있을 만큼 간단한 건축물이다. 이것을 지을때는 눈을 압축하여 직육면체 형태로 만들어진 벽돌로 돔 형태로 쌓고 입구를 막는다. 그런 뒤 불을 피워 실내 온도를 높여준다. 그러면 실내 기온이 상승하면서 눈으로 만든 벽돌이 조금씩 녹기 시작해서 단단한 얼음으로 변하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얼음 벽돌에는 무수한 공기 방울이 보인다. 일반적인 얼음과 달리, 눈으로 만들어진 벽돌은 많은 양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다. 그 덕분에 밖의 냉기를 막고, 실내의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역할을 하는 것이다

3. 지우개는 더 이상 고무로 만들지 않는다?

연필로 글씨나 그림을 그리면 연필심에 들어 있는 흑연가루가 종이 표면에 붙어 글씨나 그림이 그려진다. 지우개는 종이에 대고 문지를 때 연필 자국인 흑연 가루를 잘 흡착해 함께 떨어져 나오는 특성이 있다. 

영국의 화학자 조셉 프리스틀리에 의해 발명이 되었다. 1770년 어느 날 프리스틀리는 글을 쓰다 무심코 작은 고무로 글씨를 문질렀는데 글자가 지워지는 것을 목격하고 발견하게 되었다. '문지르다'라는 뜻을 가진 'Rubber'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도 바로 이때의 발견에서 비롯된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프랑스어인 고므(Gomme)에서 온 말이다. 그런데 요즘은 예전과 달리 거의 고무로 만들어 지지 않는다.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이것은 적은 비용으로 만들수 있는데가, 인쇄나 모양, 색상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플라스틱지우개끼리는 붙어 있을 경우 서로 붙어버리기 때문에 반드시 개별 포장이 되어 있어야 한다.

4. 만년필은 갈대에서 힌트를 얻어 만들어 졌다?

만년필은 1884년 미국인 워터맨이 최초로 제작했다. 그런데 만년필의 진짜 뿌리를 만나려면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기원전 3200년부터 기원전 332년까지 3000여년동안 존재했던 고대 이집트까지. 

만년필의 페[ㄴ촉은 닙(Nib)이라고 불린다. 잉크가 나오는 닙에는 공학적으로 기다란 홈과 구멍이 있는데 이를 통해 모세관 현상으로 잉크가 종이에 써진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갈대펜을 만들어서 사용했다. 갈대 줄기를 비스듬하게 베어낸 뒤에 끝부분을 세로로 갈랐다. 바로 이 끝부분이 현대 의 닙과 같은 기능을 한것이다. 모세관 현상으로 끝부분의 갈라진 틈으로 잉크가 올라간다. 세월이 흐르면서 재질이 점차 발전을 하게 되었다. 갈대는 7세기경 깃털로 진화하였고, 거기서 다시 금속으로 바뀌게 되었다.

 

다음글

- 과학으로 바닷물에서 소금을 얻는 방법이 엄청난 인류 대발견인 이유?

- 최근 접한 정보가 가장 먼저 기억나는 이유가 있다?

- 젊은 뇌를 이식하면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다?

- 실패한 발명품이었던 순간접착제, 수많은 생명을 구했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었던 상식들

 

 

LIFE 상식 ( 23 ) 사랑의 유효 기간은 30개월이다?

1. 비행기의 창문은 무려 3중창이다? 비행기 창문에는 최신 첨단과학이 숨어 있다. 첫째, 비행기 창문은 둥근 모양이다. 보통 건물의 창이 네모 모양인 것과 다르다. 난기류와 공기 저항을 피하고

seeme1004.tistory.com

참고문헌,'상식으로 두뇌의 숨은 힘을 깨워라.1분 생활상식'.별글출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