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행기의 창문은 무려 3중창이다?
비행기 창문에는 최신 첨단과학이 숨어 있다. 첫째, 비행기 창문은 둥근 모양이다. 보통 건물의 창이 네모 모양인 것과 다르다. 난기류와 공기 저항을 피하고자 높은 고도에서 운항 하는 비행기는 온도와 기압차가 많은 환경에서 비행을 하고 기상이 악화되거나 안팎의 기압 차가 커지면 기체가 충격을 받는다. 이 같은 충격에서 네모난 창문은 압력이 모서리로 집중되어 금이 갈수도 있다. 이에 비해 둥근 창문은 모서리가 없어 압력을 분산시킬수 있다.
둘째, 비행기 창문에는 작은 구멍이 나 있다. 세겹의 유리로 만들어 지는데, 가운데 유리창과 바깥 유리사이에는 공기층이 있고 가운데 유리에는 구멍이 있다. 기내의 공기압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이 구멍은 흔히 숨통혹은 흘림 구멍이라고 한다. 폭발 등 위급 상황이 일어나 기내 압력이 증가하면 이 구멍으로 압력이 밖으로 흘러 바깥 유리창만 깨지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2. 사랑의 유효 기간은 30개월이다?
미국 코넬대학교 신시아 하잔 교수는 2년 동안 미국인 5000명을 대상으로 '사랑의 유효기간'에 대해 인터뷰를 했다.
그 결과, 열정적인 사랑의 수명은 평균 18~30개월인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또 사랑에 빠진지 12개월쯤 지나면 열정이 50% 정도 감소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사랑에 빠지면 뇌의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한 미상핵 부위가 활성화된다. 그리고 일명 '사랑의 묘약'이라 불리우는 도파민이 분비된다. 도파민이 분비되면 사람들은 기쁨의 감정이 많아지고, 웃음이 많아진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미상핵의 활동은 둔화한다. 반면에 이성적 사고를 담당하는 대뇌피질의 활동이 활발해진다. 이른바 사랑의 콩깍지가 벗겨지는 순간인것이다. 사랑의 유효 기간은 30개월인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신시아 하잔 교수에 따르면 사랑의 열정이 줄어든 순간부터 반대로 애착의 강도가 올라간다. 애착은 꾸준히 쌓이며 편안하고 안정된 느낌을 서로에게 주게 된다. 덕분에 사랑의 유효 기간이 30개월이 지난 후에도 사랑하는 사람들이 서로 헤어지지 않고 계속 함께 할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왜 열정적 사랑의 유효 기간은 30개월일까? 진화심리학자들은 이런 해석을 내놓았다. 남녀가 사랑해서 아기를 낳고, 그 아기가 부모의 도움 없이 생존할 수 있으려면 최소 30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3. 남을 도우면 내 건강도 저절로 좋아진다?
1988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의 데이비드 맥클랜드 교수는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한 그룹은 돈을 받는 노동에, 다른 그룹은 아무런 대가가 없는 봉사 활동에 참여하게 했다. 이후 건강 검진을 했는데, 봉사 활동을 한 그룹의 면역 기능이 크게 상승했다. 또 다른 실험을 했따. 이번엔 실험 참여자들에게 마더 테레사 수녀의 활동 영상을 보여준 뒤에 면역 항체 수치를 확인했다. 이때 스트레스 지수가 내려가고 면역 기능 수치는 올라간 것을 확인했다.
이처럼 남을 도우면 인체 면역 기능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교수는 '마더 테레사 효과'라고 이름 지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남을 돕고 나면 흐뭇함이나 자신만의 뿌듯함을 느낀다. 전문 용어로 '헬퍼스 하이'라는 말이 있는데, 남을 도울 때 생기는 심리적 포만감 즉 하이 상태가 며칠 또는 몇주 동안 지속된다는 것이다.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현저히 낮아지고, 엔돌핀이 정상치의 3배이상 분비되어 몸과 마음에 활력이 넘치게 된다.
4. 대부분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본다?
안경을 쓰는 사람이라면 종종 경험할 것이다. 디자인이 다른 안경을 맞춰서 새롭게 쓰고 학교나 직장, 모임 등에 갔는데 자신과 아주 가까운 사람들도 이를 잘 알아채지 못하는 일이 있다. 이는 관심이 없어서도 일부러 모른 체하는 것도 아니다.
정말 눈에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대부분 사람들은 가족이 집 안의 가구를 바꾸었을 때, 친한 사람의 외모가 변화가 생겼을 때, 바로 눈치 채지 못한다. 이런 현상을 '변화맹'이라고 한다. 인간의 눈은 새롭게 보이는것 대신 기억에 의존해서 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를두고 신경과학자 줄리오 토노니는 "눈은 셔터를 여는 장치에 불과하다, 보는 주체는 정신이다"라는 말을 하기도했다
다음글
-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 겨울철 에어캡을 창문에 붙이는 것은 이글루 효과이다?
- 지우개는 이제 더 이상 고무로 만들지 않는다?
- 만년필은 갈대에서 힌트를 얻어 만들어졌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상식
↓↓↓↓↓↓↓↓↓↓↓
LIFE 상식 (22) 겨울에 세차할 때는 차가운 물로 해야 한다?
1. 자동차에서 뛰어내릴 때 앞쪽, 뒤쪽 중 어디가 안전할까? 차량을 운전하다보면 갑작스럽게 브레이크가 말을 듣지 않거나 급박한 상황이 생길수도 있다. 바로 앞이 낭떠러지일수도 있는 상황
seeme1004.tistory.com
참고문헌,'상식으로 두뇌의 숨은 힘을 깨워라.1분 생활상식'.별글출판
'과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 상식 (25) 실패한 발명품 순간접착제, 수많은 생명을 구했다? (0) | 2021.01.12 |
---|---|
LIFE 상식 (24)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0) | 2021.01.11 |
LIFE 상식 (22) 겨울에 세차할 때는 차가운 물로 해야 한다? (0) | 2021.01.11 |
LIFE 상식 (21)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0) | 2021.01.09 |
LIFE 상식 (20)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라는 속담은 사실이 아니다? (0) | 2021.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