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상식19

LIFE 상식(37) 초밥 1인분이 10개인 이유 1. 2차 세계대전 때 미국인은 덩어리 빵만 먹어야 했었다? 1942년 1월 18일, 미국 농무부의 클라우드 위카드 장관은 이상한 발표를 했다. '미국의 모든 빵 관련 업체에서는 식빵을 잘라서 팔지 못한다. 덩어리 형태로만 판매한다'는 내용이었다. 무슨 해괴망측한 발표인가 싶은데, 여기서 초점은 빵에 있지 않다. 사실 중요한 것은 빵이 아니라 빵을 자르는 데 사용하는 칼이나 기계, 그리고 빵 포장 용품 등이었다. 즉 전쟁 때문에 군수 물자가 부족해지자 후방에서 물자를 절약하기 위해 이런 정책을 내놓게 된 것이다. 특히 빵을 자르는 기계는 쇠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군수품 공장으로 보내면 무기를 만드는 재료로 적절하게 사용할수 있었던 것이다. 2. 스위스의 퐁뒤는 나치에 저항하기 위해 먹었던 음식이다.. 2021. 1. 27.
LIFE 상식 (33) 감자는 유럽인들에게 악마의 식물로 불렸다 1. 300년 동안 감자는 유럽인들에게 악마의 식물로 여겨졌다 현대인의 식탁에 자주 사용되는 필수 식재료중 하나인 감자. 감자의 고향은 수백종의 야생 감자가 자라는 안데스산맥의 고원이다. 이곳을 정복한 에스파냐인들은 16세기 후반 감자를 에스파냐를 비롯한 유럽으로 가져갔다. 감자를 처음 본 유럽인은 감자를 별로 반기지 않았다. 오히려 기분 나쁜 식물로 여겼다. 왜그랬을까? 그 당시의 감자는 현재의 것과 달리 알이 작고 울퉁불퉁했으며, 잘라두면 흰 살빛이 금방 검게 변했다. 맛은 쓴맛이 났으며, 혀를 자극하는 독( 훗날 솔라닌이란 성분으로 밝혀짐)이 있었다. 이것이 나병을 생각나게 했는지, 감자를 먹으면 나병에 걸린다는 소문까지 돌랐다. 프랑스 동부의 브르고뉴 지방에서는 공식적으로 감자의 식용이 금지될 지.. 2021. 1. 16.
LIFE 상식 (32) 영국의 산업혁명은 설탕이 일으켰다? 1. 조선에도 슈퍼 영웅이 존재했다? 세계적으로 슈퍼 영웅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화가 흥행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이런 히어로는 현대에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조선 시대에도 이런 영웅담이 큰 인기를 끌었다. 대표적인 예로 영화화되기도 했던 전우치를 꼽을수 있다. 원래 실존 인물이었으며, 도술을 익혀 역병에 걸린 사람들을 구한 이야기로 구전되다가 소설화되었다. 바로 그 작품이 전우치전이다. 작자와 집필 연대 미상의 소설 속에서 하늘의 관리로 변장해 왕에게 황금 들보를 요구하고 그 것으로 가난한 백성들을 도와주는 내용이다. 나라에서 내린 체포령을 피해 다니면서 탐관오리를 혼내주고 힘들어 하는 백성을 구제합니다. 또 다른 슈퍼 영웅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홍길동'이었다. 「홍길동전」의 실제 주인공은 .. 2021. 1. 16.
LIFE 상식 (31) 중국 차 덕에 탄생한 영국의 명품 브랜드가 있다? 1. 고급 샴페인 돔 페리뇽은 원래 수도사의 이름이었다? 프랑스 최고급 샴페인의 대명사로 알려진 돔 페리뇽. 프랑스 최북단의 샹파뉴 지역에서 생산되는 스파클링 와인인 중에서도 최고의 제품을 말한다. 그런데 이것은 원래 사람 이름이었다. 17세기만 해도 샹파뉴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와인이 생산되었다. 그런데 이곳은 프랑스의 다른 와인 생산지보다 조금 추운 기후여서 봄마다 와인에서 탄산가스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때로은 탄산가스가 심하게 나와서 병을 깨뜨리는 일까지 일어나자 이를 해결하는 임무를 맡아 파견된 사람이 바로 페리뇽이라는 수도사였다. 그는 오랜 연구 끝에 샹피뉴에서 생산된 와인에 맞춰 탄산가스의 압력을 견디는 유리병과 코르크 마개를 찾아냈다. 그리고 탄산가스가 많은 스파클링 와인의 특성을 살려 .. 2021.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