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상식

LIFE 상식 (21)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1. 9.

1.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타이어는 다들 알다시피 고무로 만들어진다. 고무라고 해서 전부 검은색은 아니다. 그럼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그 이유를 알아보자. 재료는 천연고무가 아니라 합성고무가 주재료이다. 천연고무는 가격이 비싸고 농산물인 만큼 공급이 안정적이지 않다. 또 균열이 잘 일어나고, 마모가 쉽게 일어나는 약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합성 고무이다. 타이어가 왜 전부 검은색일까? 그 이유는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알 수 있다. 타이어를 만들려면 합성고무에 카본블랙을 혼합해야 한다.  카본블랙은 일종의 그을음인데. 고무에 혼합하면 기계적인 강도가 강해진다. 이때 바로 타이어가 검은색을 띠게 된다. 이제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인지 궁금증이 해결이 되었을 것이다.

2. 왜 맨홀 뚜껑은 전부 둥근 모양일까?

인도나 차도 바닥에 있는 맨홀의 모양들을 보면 모두 동그랗다. 그 이유는 뚜껑이 홀에 바져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잘못해서 사람이 떨어지거나, 자동차 사고가 날 수도 있으니, 뚜껑 관리하는 사람이 일부러 열지 않는 이상 절대로 열리면 안 된다. 원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모든 방향의 길이가 똑같다. 그래서 원형 뚜껑은 바로 세우더라도 빠지지 않는다. 만일 사각형이었다면 필연적으로 가로의 길이나 세로의 길이가 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은 건 당연하다. 그렇기에 사격형은 세로로 세웠을 때  대각선으로 빠져버리게 된다. 이런 모양은 사각이든 오각이든 다 똑같다. 원만 빠지지 않는다.

3. 비상구 표지판이 녹색인 이유는?

녹색은 명시성이 아주 높은 색깔이다. 같은 조건에서 여러 색깔의 물체가 있으면, 녹색의 물체가 가장 눈에 띄다는 의미이다. 심지어 어두운 밤에도 잘 보인다.

이런 이유는 인간의 눈에 있는 간상세포때문이다. 간상세포는 사람이 어두운 장소에서 물체를 볼 때 관여하는 세포로, 로돕신이라는 색소 물질이 들어 있다. 로돕신은 녹색광을 잘 흡수해서 어두울 떼도 인간의 눈에는 녹색이 잘 보인다. 이런 이유로 비상구 표지판은 어디에서나 녹색으로 통일하고 있고, 군대에서 야간 투시경에도 녹색이 사용되고 있다.

4. 자동차가 많지도 않은데 막히는 유령정체는 왜 일어날까?

귀성길 등 긴 구간을 운전하다 보면 딱히 막힐 일이 없는 곳인데도 극심한 정체를 보이는 구간이 있다. 차량이 한꺼번에 몰려서라지만 신호등도 없는 길이고 교통사고도 나지 않았는데도 차가 밀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걸 '유령 정체'라고 한다.

그 원인은 급정차와 차선변경이다. 앞차가 속도를 줄이면 뒤차는 앞차가 줄인 속도보다 더 속도를 줄여야 하고 그 뒤의 차는 더더 줄여야 한다. 차선 변경의 경우도 선두 차량이 차선을 바꾸면 주변 차량은 뒤로 갈수록 속도가 훨씬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앞차가 느리게 주행한다고 판단해 뒤차가 추월하려고 차선을 변경하면 연쇄적으로 차량 흐름이 안 좋아지기도 한다. 일본 도쿄대학교 니시나리 가쓰리로 교수는 평소엔 추월차선을 달리는 것이 빠르지만 차량이 절대적으로 많으면 주행 차선을 고수하는 것이 결과적으로는 약간 더 빠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실험상으로는 모든 차량이 최대한 급제동이나 차선 변경을 하지 않고 정속 주행을 하면 교통체증은 그리 심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심리적으로 그게 쉽지 않다. 


다음글

-자동차에서 뛰어내릴 때 앞쪽, 뒤쪽 중 어디가 안전할까?

- 겨울에 세차할 때는 차가운 물로 해야 한다?

- 비행기를 타면 왜 귀가 먹먹할까?

- 비행기 사고의 생존율은 압도적으로 자동차 사고보다 높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상식

 

 

LIFE 상식 (20)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라는 속담은 사실이 아니다?

1. 향수를 만드는 직업 조향사 이들 이라고 향을 더 잘 맞는것은 아니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조향사라는 직업은 남들과 틀리게 냄새를 맞는 능력이 특별할거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그것은 오

seeme1004.tistory.com

참고문헌,'상식으로 두뇌의 숨은 힘을 깨워라.1분 생활상식'.별글출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