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타이어는 다들 알다시피 고무로 만들어진다. 고무라고 해서 전부 검은색은 아니다. 그럼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그 이유를 알아보자. 재료는 천연고무가 아니라 합성고무가 주재료이다. 천연고무는 가격이 비싸고 농산물인 만큼 공급이 안정적이지 않다. 또 균열이 잘 일어나고, 마모가 쉽게 일어나는 약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합성 고무이다. 타이어가 왜 전부 검은색일까? 그 이유는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알 수 있다. 타이어를 만들려면 합성고무에 카본블랙을 혼합해야 한다. 카본블랙은 일종의 그을음인데. 고무에 혼합하면 기계적인 강도가 강해진다. 이때 바로 타이어가 검은색을 띠게 된다. 이제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인지 궁금증이 해결이 되었을 것이다.
2. 왜 맨홀 뚜껑은 전부 둥근 모양일까?
인도나 차도 바닥에 있는 맨홀의 모양들을 보면 모두 동그랗다. 그 이유는 뚜껑이 홀에 바져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잘못해서 사람이 떨어지거나, 자동차 사고가 날 수도 있으니, 뚜껑 관리하는 사람이 일부러 열지 않는 이상 절대로 열리면 안 된다. 원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모든 방향의 길이가 똑같다. 그래서 원형 뚜껑은 바로 세우더라도 빠지지 않는다. 만일 사각형이었다면 필연적으로 가로의 길이나 세로의 길이가 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은 건 당연하다. 그렇기에 사격형은 세로로 세웠을 때 대각선으로 빠져버리게 된다. 이런 모양은 사각이든 오각이든 다 똑같다. 원만 빠지지 않는다.
3. 비상구 표지판이 녹색인 이유는?
녹색은 명시성이 아주 높은 색깔이다. 같은 조건에서 여러 색깔의 물체가 있으면, 녹색의 물체가 가장 눈에 띄다는 의미이다. 심지어 어두운 밤에도 잘 보인다.
이런 이유는 인간의 눈에 있는 간상세포때문이다. 간상세포는 사람이 어두운 장소에서 물체를 볼 때 관여하는 세포로, 로돕신이라는 색소 물질이 들어 있다. 로돕신은 녹색광을 잘 흡수해서 어두울 떼도 인간의 눈에는 녹색이 잘 보인다. 이런 이유로 비상구 표지판은 어디에서나 녹색으로 통일하고 있고, 군대에서 야간 투시경에도 녹색이 사용되고 있다.
4. 자동차가 많지도 않은데 막히는 유령정체는 왜 일어날까?
귀성길 등 긴 구간을 운전하다 보면 딱히 막힐 일이 없는 곳인데도 극심한 정체를 보이는 구간이 있다. 차량이 한꺼번에 몰려서라지만 신호등도 없는 길이고 교통사고도 나지 않았는데도 차가 밀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걸 '유령 정체'라고 한다.
그 원인은 급정차와 차선변경이다. 앞차가 속도를 줄이면 뒤차는 앞차가 줄인 속도보다 더 속도를 줄여야 하고 그 뒤의 차는 더더 줄여야 한다. 차선 변경의 경우도 선두 차량이 차선을 바꾸면 주변 차량은 뒤로 갈수록 속도가 훨씬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앞차가 느리게 주행한다고 판단해 뒤차가 추월하려고 차선을 변경하면 연쇄적으로 차량 흐름이 안 좋아지기도 한다. 일본 도쿄대학교 니시나리 가쓰리로 교수는 평소엔 추월차선을 달리는 것이 빠르지만 차량이 절대적으로 많으면 주행 차선을 고수하는 것이 결과적으로는 약간 더 빠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실험상으로는 모든 차량이 최대한 급제동이나 차선 변경을 하지 않고 정속 주행을 하면 교통체증은 그리 심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심리적으로 그게 쉽지 않다.
다음글
-자동차에서 뛰어내릴 때 앞쪽, 뒤쪽 중 어디가 안전할까?
- 겨울에 세차할 때는 차가운 물로 해야 한다?
- 비행기를 타면 왜 귀가 먹먹할까?
- 비행기 사고의 생존율은 압도적으로 자동차 사고보다 높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상식
▼▼▼▼▼▼▼▼
LIFE 상식 (20)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라는 속담은 사실이 아니다?
1. 향수를 만드는 직업 조향사 이들 이라고 향을 더 잘 맞는것은 아니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조향사라는 직업은 남들과 틀리게 냄새를 맞는 능력이 특별할거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그것은 오
seeme1004.tistory.com
참고문헌,'상식으로 두뇌의 숨은 힘을 깨워라.1분 생활상식'.별글출판
'과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 상식 ( 23 ) 사랑의 유효 기간은 30개월이다? (0) | 2021.01.11 |
---|---|
LIFE 상식 (22) 겨울에 세차할 때는 차가운 물로 해야 한다? (0) | 2021.01.11 |
LIFE 상식 (20)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라는 속담은 사실이 아니다? (0) | 2021.01.09 |
LIFE 상식 (19) 양치할 때 치약에 물을 묻히면 안된다? (0) | 2021.01.07 |
LIFE 상식 (18) 일찍 일어나는 게 청소년에게는 좋지 않을 수 있다? (0) | 2021.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