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상식11 LIFE 상식(37) 초밥 1인분이 10개인 이유 1. 2차 세계대전 때 미국인은 덩어리 빵만 먹어야 했었다? 1942년 1월 18일, 미국 농무부의 클라우드 위카드 장관은 이상한 발표를 했다. '미국의 모든 빵 관련 업체에서는 식빵을 잘라서 팔지 못한다. 덩어리 형태로만 판매한다'는 내용이었다. 무슨 해괴망측한 발표인가 싶은데, 여기서 초점은 빵에 있지 않다. 사실 중요한 것은 빵이 아니라 빵을 자르는 데 사용하는 칼이나 기계, 그리고 빵 포장 용품 등이었다. 즉 전쟁 때문에 군수 물자가 부족해지자 후방에서 물자를 절약하기 위해 이런 정책을 내놓게 된 것이다. 특히 빵을 자르는 기계는 쇠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군수품 공장으로 보내면 무기를 만드는 재료로 적절하게 사용할수 있었던 것이다. 2. 스위스의 퐁뒤는 나치에 저항하기 위해 먹었던 음식이다.. 2021. 1. 27. LIFE 상식 (21)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1.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타이어는 다들 알다시피 고무로 만들어진다. 고무라고 해서 전부 검은색은 아니다. 그럼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그 이유를 알아보자. 재료는 천연고무가 아니라 합성고무가 주재료이다. 천연고무는 가격이 비싸고 농산물인 만큼 공급이 안정적이지 않다. 또 균열이 잘 일어나고, 마모가 쉽게 일어나는 약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합성 고무이다. 타이어가 왜 전부 검은색일까? 그 이유는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알 수 있다. 타이어를 만들려면 합성고무에 카본블랙을 혼합해야 한다. 카본블랙은 일종의 그을음인데. 고무에 혼합하면 기계적인 강도가 강해진다. 이때 바로 타이어가 검은색을 띠게 된다. 이제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인지 궁금증이 해결이 되.. 2021. 1. 9. LIFE 상식 (19) 양치할 때 치약에 물을 묻히면 안된다? 1. 양치질할 때 치약에 물을 묻히면 안된다. 우리는 양치질할때 버릇처럼 치약에 물을 묻혀서 사용할때가 많다. 아무래도 물을 묻히면 거품이 많이 생겨 쳔하게 양치할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이런 버릇이 구강 건강에 좋지 않다는 말이 있다. 치약에 물을 묻히게 되면 충치를 예방하는 성분인 불소나 미백효과, 연마제 성분등이 치아에 닿기도 전에 희석이 되어 원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물을 묻혀 사용하면 빠르게 거품이 발생하게 되어 양치시간이 빠르게 끝나버려 제대로 된 양치질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말라있는 칫솔에 물을 먼저 묻히고 여기에 치약을 묻히는 경우도 있다. 이것도 별로 좋지 않다. 가장 좋은 양치질 방법은 마른 칫솔에 치약을 묻혀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 2021. 1. 7. LIFE 상식 (17) 만리장성이 오랜 세월 굳건한 이유는 찹쌀 때문이다? LIFE 상식 (17) 1. 만리장성이 오랜 세월 굳건한 이유는 찹쌀 때문이다? 중국여행을 가게 되면 코스중 빼먹지 않는곳이 바로 만리장성입니다. 중국의 만리장성은 중국 최초의 주앙 집권적 통일 제국인 신나라 때 맨 처음 만들어졌다. 그러나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것은 14세기 명나라 시절이다. 계속 남쪽을 넘보며 침범하는 몽골족을 막기 위해서 명나라는 돌을 다듬어 단단하고 높게 쌓아 올려 수백년을 버티는 제대로 된 성을 만들었다. 그런데 이때 돌과 돌 사이에 흙이나 돌가루에 수숫가루와 찹쌀가루를 섞어 만든 찹쌀 몰타르를 발라 성을 쌓았다. 몰타르는 접착반죽을 말한다. 고대 문명에서는 비교적 무른 돌인 석화석을 가루로 만들어 물에 개서 돌 사이에 바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명나라 때는 특이하게도 식자재.. 2021. 1. 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