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온병은 일반 사람들과는 관계없는 과학실험 도구였다?
1892년 스코틀랜드 출신의 화학자 제인스 듀어는 실험에 사용할 액체와 기체를 보관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었다.
그러다 유리로 된 플라스크 2개를 겹치고 그 사이의 공기를 빼면 온도가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듀어는 유리 기술자였던 레인홀트 부르거를 고용해 보온병을 개발해 실험에서 유용하게 썼다. 한편 부르거는 듀어의 의뢰로 만든 보온병이 가정용으로 쓰기에 괜찮겠다고 생각했다. 집에서 음식이나 음료를 따뜻하게 보관하기에 적당해 보인 것이다. 그래서 1903년부터 가정용 보온병을 만들어 판매하기 시작했다. 1904년에는 그리스어로 따뜻한 이란 뜻의 '써모스'라는 상품명도 만들어 붙였다. 이것이 바로 세계적인 보온병 회사 써모스의 창업스토리다.
보온병은 처음에는 대중에게 별 인기가 없었지만, 극지방이나 아프리카 대륙을 탐험하는 탐험가들이 유용하게 쓰면서부터 입소문이 나며 점차 생활필수품이 되어갔다. 지금도 써모스라는 상품명 자체가 보온병이란 뜻으로도 통하고, 최초 발명자인 제임스 듀어의 이름을 따서 '듀어병'이라고도 불린다.
2. 한국은 세계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은 나라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국가다. 한반도에는 고인돌이 4만여 개가 있는데 이는 전세계 고인돌의 약 40%를 차지한다. 한반도에서 고인돌이 다수 발견된 지역을 보면 강, 하천 기슭, 평탄 지역, 산 능선 등 주로 양지 바른 곳에 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형과 입지 등 자연적인 조건은 필연적으로 농경 조건과 일치한다. 쉽게 말해 고인돌이 다수 위치한 지역은 문명이 발달할 최적의 조건을 갖춘 곳이기도 하다. 그런데 유독 우리나라에 고인돌이 많은 까닭은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사후 세계에 대한 관심이 고인돌 건설로 나타난 것이라는 설이 있다.
고인돌은 순우리말로 돌을 괴어서 만든 것, 즉 '괴인 돌'을 의미한다. 어원이나 고인돌의 모양에서 알 수 있듯, 고인돌은 받침이 되는 바위를 세운 뒤 흙으로 덮어 언덕을 만든 다음에 덮개가 되는 바위를 끌어올려 흙을 다시 파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고인돌과 함께 출토된 물품으로 볼 때 고인돌은 당시 유력자의 무덤이거나 제단, 기념물 등 여러 역할을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3. 중국 최고 문화유산인 만리장성, 도대체 왜 만들었을까?
중국 최초의 중앙 집권적 통일제국인 진나라의 시황제는 기원전 220년 북방 민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통합된 방어 산성을 짓기 시작했다. 중국에서 건국된 모든 국가의 걱정거리 중 하나는 몽골 고원에서 침입해 오는 유목민이었다.
특히 가을철 농사 수확기 때마다 유목민의 침입과 약탈이 반복되었다. 시황제는 이 같은 병폐를 막기 위해 전국 시대에 여러 나라가 쌓아뒀던 성을 2m 높이로 연결했다. 당시에는 대지가 한변이 1만 리인 사각형이라고 여겨졌다. 이렇게 해서 건설된 성에는 북쪽 한 변을 따라 만들어졌다고 해서 ' 만리장성 '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한편 만리장성처럼 길기 쌓은 성이 고려에도 있었다. 그 명칭은 천리장성으로, 그 축조 목적은 역시 동북 방면의 여진족, 서북 방면의 거란족을 방비하기 위한 것이었다.
4. 황제라는 명칭은 로마 제국의 카이사르가 원조다?
로마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던 카이사르는 갈리아와 브리타니를 정복한 뒤 군대를 끌고 로마로 향했다. 이때 그 유명한 "주사위는 던져졌다"는 말을 했다.로마를 제압한 카이사르는 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당시 카이사르의 권세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그의 이름은 곧 유럽에서 황제의 대명사가 되었다. 황제를 뜻하는 독일어 '카이저'와 러시아어 '차르' 또한 카이사르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권력은 영원하지 않았따. 카이사르는 기원전 44년 원로원의 폼페이 하우스 조각상 앞에서 공화 정치를 옹호한 카시우스롱 기누스, 브루투스 등에게 암살되었다.
다음글
- 고대 로마 검투사들은 채식주의자였다?
- 고대에는 구구단을 모르면 전쟁에서 이길 수 없었다?
- 전 세계에서 일어난 끔찍한 대기근이 삼국지를 탄생시켰다?
- 세계 최초 기업이자 가장 오래된 기업을 백제인이 세웠다?
<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상식 >
↓↓↓↓↓↓↓↓↓↓↓
LIFE 상식 (25) 실패한 발명품 순간접착제, 수많은 생명을 구했다?
1. 과학으로 바닷물에서 소금을 얻은 방법이 엄청난 인류 대 발견인 이유? 지금은 너무나도 흔하디 흔하지만, 한때 ' 하얀 황금 ' 으로 여겨졌다. 인간은 소금을 먹어야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동
seeme1004.tistory.com
참고문헌,'상식으로 두뇌의 숨은 힘을 깨워라.1분 생활상식'.별글출판
'과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 상식 (28) 세계 최초의 지폐는 돈이 아니라 교환권이었다? (0) | 2021.01.13 |
---|---|
LIFE 상식 (27) 로마시대 검투사들은 채식주의자였다? (0) | 2021.01.13 |
LIFE 상식 (25) 실패한 발명품 순간접착제, 수많은 생명을 구했다? (0) | 2021.01.12 |
LIFE 상식 (24)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0) | 2021.01.11 |
LIFE 상식 ( 23 ) 사랑의 유효 기간은 30개월이다? (0) | 2021.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