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향수를 만드는 직업 조향사 이들 이라고 향을 더 잘 맞는것은 아니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조향사라는 직업은 남들과 틀리게 냄새를 맞는 능력이 특별할거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그것은 오해다. 사실 업계에서 선발할때 기준으로 잡는 부분은 예민한 후각이나 미각(식품쪽)보다는 제품 개발을 대하는 그 사람의 열정을 본다고 할수 있다. 그런 사람을 선발하면 결과적으로 더 일을 잘한다고 한다.
게다가 이런 예민한 감각들은 오히려 일하는데 방해요소가 된다. 미각을 예로 들면 혀의 1㎠당 미뢰의 수는 둔감한 사람이 100개, 보통이 200개, 민감한 사람이 400개 정도이다. 미뢰가 400개 정도 되는 사람은 보통 일반인이 먹었을때 맛있게 느껴지는 음식도 짜거나 쓰게 판별할 위험요소가 있다. 이렇게 되면 대중을 위해 만들어지는 음식의 맛을 찾을수가 없다.
2. 봄철 미세먼지는 사실 30년 전이 더 심각했다?
봄철에 기승을 부리는 미세먼지!. 아니 이젠 거의 4계절이 다 미세먼지가 가득한것 같다. 텔레비전이나 인터넷에 날씨정보엔 늘 미세먼지 수치도 같이 확인해야한다. 근데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것 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심각한 수준이었다.
성분을 본다면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납 등 유해물질을 포함해서 공기중에 떠다니는 아주 작은 것을 가르킨다. 서울특별시 대기환경정보에 따르면 1988년 서울시의 미세먼지 농도는 2017년 평균 농도보다 54.5%가 높았다. 그럼 왜 최근들어서 사회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을까?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2013년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한 데 이어서 2014년엔 이로 인해 조기 사망하는 인구가 700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때부터 사람들이 경각심을 가지게 되면서 대중들에게 알려지게 된것이다.
3.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라는 속담은 사실이 아니다?
이 말이 나오게 된것을 대한이라고 하지만, 소한일때가 날씨가 더 맹렬히 춥기 때문인데, 절기 이름만으로 보면 큰 대자를 사용한 대한이 더 추울것같은데, 왜 이런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라는 속담이 생겼을까? 태양력에 맞춰 기후와 할 일의 때를 24개로 나눈 것이 절기이다. 그런데 이 절기는 기원전 110년~기원전 256년 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졌다. 주나라 영토는 대륙 안쪽, 즉 내륙인 황하강 유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비록 주나라 영토와 우리나라의 위도가 비슷하다곤 하지만 삼면이 바다인 한반도에 적용할 때는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가서 얼어 죽었다"라는 속담 자체에 절기가 나누어 진것이 우리나라의 기후와 맞지 않게 설정이 된것이다.
4. 여름에 갑자기 쏟아지는 비, 동남아의 스콜과 뭐가 다를까?
몇년 사이에 우리나라에는 여름마다 특이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환경오염때문인지 요즘 기후가 전반적으로 이상하다. 쨍쨍하다가도 갑자기 비가 확 쏟아지곤 하는 것이다. 이를 두고 동남아시아에서 매일 같이 볼수 있는 스콜성기후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결론은 그것과는 다르다.
스콜이란 적도 부근의 열대 지방에서 한낮에 짧게 내리는 비를 말하는데, 거의 매일 오후에 정기적으로 내려서 뜨거운 기온을 내려주는 역할을 한다. 스콜은 땅에서 달궈진 뜨거운 공기가 급격히 하늘로 올라가서 비구름을 만들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생기는 현상은 어떤가? 이 소나기의 형성 원리는 땅에서 불어오는 뜨겁고 습한 바람과 위쪽의 찬바람이 만나 충돌이 일어나면서 비구름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이처럼 서로 비를 내리게 하는 원리 자체가 틀린것이다.
[ 다음글 ]
- 왜 맨홀 뚜껑은 전부 둥근 모양일까?
-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 비상구 표지판이 녹색인 이유는?
- 자동차가 많지도 않은데 막히는 유령정체는 왜 일어날까?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상식
▼▼▼▼▼▼▼▼
LIFE 상식 (19) 양치할 때 치약에 물을 묻히면 안된다?
LIFE 상식 (19) 1. 양치질할 때 치약에 물을 묻히면 안된다. 우리는 양치질할때 버릇처럼 치약에 물을 묻혀서 사용할때가 많다. 아무래도 물을 묻히면 거품이 많이 생겨 쳔하게 양치할수 있기 때문
seeme1004.tistory.com
참고문헌,'상식으로 두뇌의 숨은 힘을 깨워라.1분 생활상식'.별글출판
'과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 상식 (22) 겨울에 세차할 때는 차가운 물로 해야 한다? (0) | 2021.01.11 |
---|---|
LIFE 상식 (21)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0) | 2021.01.09 |
LIFE 상식 (19) 양치할 때 치약에 물을 묻히면 안된다? (0) | 2021.01.07 |
LIFE 상식 (18) 일찍 일어나는 게 청소년에게는 좋지 않을 수 있다? (0) | 2021.01.07 |
LIFE 상식 (17) 만리장성이 오랜 세월 굳건한 이유는 찹쌀 때문이다? (0) | 2021.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