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치질할 때 치약에 물을 묻히면 안된다.
우리는 양치질할때 버릇처럼 치약에 물을 묻혀서 사용할때가 많다.
아무래도 물을 묻히면 거품이 많이 생겨 쳔하게 양치할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이런 버릇이 구강 건강에 좋지 않다는 말이 있다. 치약에 물을 묻히게 되면 충치를 예방하는 성분인 불소나 미백효과, 연마제 성분등이 치아에 닿기도 전에 희석이 되어 원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물을 묻혀 사용하면 빠르게 거품이 발생하게 되어 양치시간이 빠르게 끝나버려 제대로 된 양치질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말라있는 칫솔에 물을 먼저 묻히고 여기에 치약을 묻히는 경우도 있다. 이것도 별로 좋지 않다. 가장 좋은 양치질 방법은 마른 칫솔에 치약을 묻혀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이다. 물 역할을 하는 것은 침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2. 충치의 주요 원인은 당분이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지식은 단 음식이 치아를 상하게 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그게 아니라는 사실.
결론적으로 치아를 손상시키는 물질은 당이 아니라, '산' 이다.
충치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은 우리가 먹는 음식물인데, 정확히 말하자면 끈적거려서 치아에 오래동안 머물러 있는 음식이 충치를 생기게 하는 원인 된다. 이때 당은 충치균의 영양원이 된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의 치아연구소는 1000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연구를 했다. 지속적으로 사과를 먹은 그룹과 지속적으로 탄산음료를 먹은 그룹으로 나누어 치아의 상아질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연구다. 결과적으로 사과를 먹은 그룹이 손상도가 3.7배나 더 높게 나왔다. 연구소는 음료를 마시는 것보다 사과를 먹는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3. 근육은 기억력이 뛰어나다?
열심히 운동해서 근육량을 늘린 사람이 어느 기간동안 운동을 하지 않으면 근육이 급속도로 소멸된다. 영양 상태가 좋지 않아도 근육이 소멸되기 쉽다. 만약 겉으로 봤을때 비슷한 부피를 유지한다고 해도, 기능면에서는 휠씬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그렇지만 이미 형성된 근육의 구조 전체는 무너지지는 않는다. 일단 만들어진 근육은 운동을 다시 하면 빠르게 상태를 회복한다. 마치 예전에 있었던 일을 기억해내기도 하듯이 말이다. 따라서 운동을 얼마간 하지 않았다고 해도 적절히 운동을 시작하면 좋다. 특히 근력운동은 중년, 노년의 사람들도 상당한 신체 능력을 유지하게 해준다.
4. 냄새는 옛 기억을 잘 떠오르게 한다?
인간은 특정한 냄새를 맡았을 때 과거를 쉽게 떠올린다. 시각적인 부분도 있으나 냄새가 확실히 더 쉽게 떠올린다.
예를 들면, 향긋한 커피향을 맡으면 스무살때 첫사랑과 함께 갔던 카페가 떠오르기도 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후각이 청각이나 시각과는 다르게 대뇌번연계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그렇다. 대뇌번연계의 편도체는 감정의 중추역할을 한다. 순식간에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심리적 상태를 불러 일으킨다. 과거와 비슷한 경험을 하게 되면 아마도 냄새가 옛기억을 떠올리게 한 이유일것이다.
LIFE 상식
다음글 - 향수를 만드는 조향사라고 향을 더 잘 맡는 것은 아니다?
다음글 - 봄철 미세먼지는 30년 전에 더 심각했다?
다음글 - 여름에 갑자기 쏟아지는 비, 동남아의 스콜과 뭐가 다를까?
다음글 - '대한이 소한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는 속담은 사실이 아니다?
LIFE 상식 (18)
↓↓↓↓↓↓↓
LIFE 상식 (18) 일찍 일어나는 게 청소년에게는 좋지 않을 수 있다?
LIFE 상식 (18) 1. 대표적 현대병인 불면증의 주원인은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이 각종 생활의 편의를 재공하지만, 때론 건강에 해를 입히기도 한다. 이것은 바로 '블루라이트' 때문이다. 블루라이
seeme1004.tistory.com
참고문헌,'상식으로 두뇌의 숨은 힘을 깨워라.1분 생활상식'.별글출판
'과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 상식 (21) 타이어는 왜 전부 검은색일까? (0) | 2021.01.09 |
---|---|
LIFE 상식 (20)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라는 속담은 사실이 아니다? (0) | 2021.01.09 |
LIFE 상식 (18) 일찍 일어나는 게 청소년에게는 좋지 않을 수 있다? (0) | 2021.01.07 |
LIFE 상식 (17) 만리장성이 오랜 세월 굳건한 이유는 찹쌀 때문이다? (0) | 2021.01.07 |
LIFE 상식 (16) 탄 음식을 먹으면 진짜 암에 걸릴까? (0) | 2021.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