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티파다 뜻
봉기, 반란, 각성 등을 뜻하는 아랍어로,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반 이스라엘 저항 운동을 말한다.
제2차 세계대전 후 UN국제연합이 이스라엘만을 국가로 인정함에 따라 팔레스타인들이 이스라엘의 통치에 저항해 봉기를 일으킨 것을 의미한다.
1987년 팔레스타인 청년들이 이스라엘 군용 트럭에 갈려 숨지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1차 인티파다가 일어난다.
1993년까지 계속된 1차 인티파다는 전 세계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 결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는 우슬로 평화협정을 체결하게 된다.
이후 2000년 9월 이스라엘 극우 정치인 아리엘 샤론이 무슬림 성지인 동예루살렘의 알-알크사 사원을 도발적으로 방문하면서 2차 인티파다가 일어난다.
이 사건으로 오슬로 평화협정은 깨졌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자치지구를 다시 점령하게 된다.
최근까지 미국과 국제사회는 이스라엘 점령지 안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건설해 독립시키는 '2국가 체제'를 통해 중동 분쟁을 종식하자는 계획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한다고 공식 선언하면서 제3차 인티파다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영향
이스라엘 보안군은 인티파다를 막기위해 팔레스타인 자치지역을 재점령하였을 뿐 아니라, 아라파트 집무실을 포위하여 연금시키는 강경한 군사정책을 취하였다. 이로써 팔레스타인 경찰까지 민중봉기에 참여하여 준전쟁 상태로 발전하면서 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는 내전상태가 되었다.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PLO의 급진세력인 PFLP(팔레스타인 민족해방전선), 하마스, 이슬람 지하드 등의 조직들은 민족의 전위 부대로 자살폭탄테러와 요인암살을 하면서 민족봉기를 자극했다. [출처. 위키백과 ]
오슬로 평화 협정 |
팔레스타인 자치에 대한 원칙적인 합의와 이스라엘, PLO의 상호 인준으로 체결된 협정이다. 협정의 내용으로는 이스라엘군의 재배치와 철수, 예루살렘과 점령지의 최종 지위 협상, 유대인 정착촌, 팔레스타인 자치와 선거, 과도기 협정, 경제 조항, 난민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
[출처. 알아두면 쓸데있는 3분 생활경제상식]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타도어 중상모략 흑색선전. 비슷한 의미의 네거티브, 데마고기 뜻 (2) | 2023.06.24 |
---|---|
컨벤션 효과 라틴어 합성어. 파라다이스 페이퍼스: 조세도피처 (0) | 2023.06.23 |
프로퍼블리카 : 탐사보도와 저널리즘의 중요성 (2) | 2023.06.21 |
프레카리아트 뜻 새로운 위험한 계급 해결책은 무엇인가? (1) | 2023.06.20 |
파레토의 법칙, 파킨슨 법칙 사례.해결방안은 있을까? (3) | 2023.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