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본위제 뜻
금본위제는 돈의 가치를 일정한 양의 금으로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보통 금화본위제와 금지금본위제를 모두 포함한 것을 금본위제라고 합니다.
금본위제는 1870년대부터 1920년대 초반까지, 그리고 1944년부터 미국이 금환을 중단하고 브레튼 우즈 체제가 종료된 1971년까지 국제 통화 체제의 기반으로 작용했습니다.
금본위제의 특징
금 보유량과 화폐 발행량이 연관되어 있어요.
간단히 말하면, 은행은 보유한 금의 양에 비례하여 화폐를 발행할 수 있답니다.
이렇게 하면 통화량을 제한하고, 정부의 통화 정책에도 제한이 생길 수 있어요.
또한, 환율이 고정되어 있어요.
각국의 화폐는 일정한 비율로 금으로 교환될 수 있기 때문에, 환율은 변동하지 않답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금 1돈이 110,000원으로 정해져 있고, 미국에서는 금 1돈이 100달러로 정해져 있다면, 달러-원 환율은 1,100원으로 고정됩니다.
무역에서의 적자나 흑자는 금의 유출이나 유입을 의미합니다.
적자를 기록하는 나라는 다른 나라로부터 금이 나가고, 흑자를 기록하는 나라는 다른 나라로부터 금이 들어옵니다. 이로써 통화량이 조절되며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금본위제는 제1차 세계대전과 대공황을 거쳐 위기를 겪은 뒤 금지금본위제로 전환되었습니다.
그러나 1930년대부터 각국은 경쟁적으로 자국의 무역을 보호하기 위해 평가절하를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금본위제에서 탈퇴하게 되었습니다.
금본위제와 금화본위제의 차이점은?
금화본위제는 금으로 만든 금화를 바로 화폐로 사용하여 시장에 유통시키는 구조입니다.
금화는 녹여 합치거나 반으로 줄이거나 변형을 가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화폐의 가치가 결정됩니다.
하지만 운반이 불편하고 위조의 위험이 있어 시장에 유통하기 어려웠습니다.
금본위제는 은행에서 발행한 지폐나 동전을 금으로 보관하여 화폐로 사용하여 시장에 유통시키는 구조입니다.
지폐나 동전은 금과 같은 가치를 가지며, 은행에서 금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태환 화폐라고 합니다.
금본위제는 금화본위제보다 편리하고 안전하며, 통화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었습니다.
요컨대, 금화본위제는 금화가 직접적으로 화폐로 사용되는 반면, 금본위제는 금화가 간접적으로 화폐로 사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금본위제가 폐지된 이유
첫째, 제1차 세계대전과 대공황으로 인해 각국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에 따라 금본위제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통화 증발과 평가절하가 이루어졌습니다.
둘째, 이로 인해 금본위제의 안정성이 손상되었고, 환율이 변동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금 태환 정지가 금본위제의 종식으로 이어졌습니다.
미국은 1933년부터 1971년까지 브레튼 우즈 체제를 통해 달러와 금의 교환을 유지했으나, 달러 발행량이 금 보유량을 초과하면서 금의 가치가 상승하고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1971년 8월 15일 미국은 달러와 금의 교환을 중단하고 금본위제를 완전히 폐지했습니다.
이는 경제적인 어려움과 통화정책의 한계, 그리고 미국의 결정으로인해 이뤄진 것입니다.
금본위제 부활 가능성은?
금본위제가 부활할 가능성은 매우 낮아요.
금본위제는 현대 경제의 요구에 부응하기 어렵고, 많은 단점과 위험을 수반하죠.
금본위제의 문제점은 여러 가지 인데요.
금의 공급이 제한적이어서 통화량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없어요.
금의 채굴량은 경제의 성장과 관련이 없어서, 금본위제 아래에서는 통화량이 부족하거나 과잉하게 되어 디플레이션 혹은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어요.
환율이 고정되어 있어서 국제 수지를 유지하기 어려워요.
금본위제에서는 무역수지가 적자가 되면 금이 유출되고, 흑자가 되면 금이 유입되어 통화량에 영향을 미치죠.
이렇게 되면 경기에 불안정성을 가져오고, 정부가 환율정책을 통해 무역수지를 조정하기가 어려워져요.
또한 금의 가격이 변동할 수 있어요.
금은 자원이 제한되어 있어서 수요와 공급 변화에 따라 가격이 변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금 수요가 증가하면 금의 가격이 올라가고, 이는 화폐의 가치를 올려요.
반대로, 금의 공급이 늘면 금의 가격이 낮아지고, 이는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려요.
이러한 변동은 화폐의 안정성을 해칠 뿐 아니라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그래서, 금본위제는 현대 경제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제도라고 볼 수 있고, 부활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할 수 있어요.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진 유리창의 법칙 사례와 마이클 레빈의 저서 소개 (3) | 2023.07.06 |
---|---|
통상임금 뜻, 1일 통상임금 계산법,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최저임금의 차이점 (1) | 2023.07.05 |
퍼플오션뜻과 전략적으로 성공한 사례를 알아보자 (5) | 2023.07.03 |
트리클다운뜻 낙수효과뜻 유래 사례 (1) | 2023.06.28 |
프로슈머뜻 마케팅의 의미와 사례, 돈버는 소비자 프로슈머의 시대 (2) | 2023.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