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상식 (14)
1. 호텔의 일회용품은 그냥 가져가도 될까?
결론적으로 괜찮다. 다만 소모성인 제품만 그렇다. 호텔에 투숙하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물품은 소모 제품과 재생 제품으로 나뉜다. 소모 제품은 샴푸, 린스, 비누, 슬리퍼 등이며, 재생 제품으로는 베개, 이불 등이 속한다. 이 가운데 소모 제품은 고객이 일단 열어서 사용하면 전량 폐기 처분을 하도록 정해져 있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제품은 고객이 체크아웃시 가져가더라도 무방하다. 만약 고객이 가져가지 않을 때는 호텔마다 정해진 방침대로 처분된다. 어떤 호텔은 고객이 손을 닦느라 한두 번 사용한 비누 등은 재포장하여 기부해 자원 활용에 동참하기도 한다.
LIFE 상식 (14)
2. 우동, 일본 음식일까 중국 음식일까?
저도 늘 궁금했었던 것입니다. 우동은 한중일 삼국에서 모두 먹는 음식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느 나라 음식일까? 일단 '우동'이란 말 자체는 일본어다. 그러데 일본어 우동의 기원을 중국어 '혼돈'이라고 보고 있다. 혼돈은 얇은 밀가루 피에 고기소를 넣어 찌거나 끓인 음식인데 이것이 일본으로 전해져 '운동'이라 불리다 '우동'이 되었다고 한다. 본래 만두와 비슷한 음식이었지만 이름만 살아남아 국수의 일종이 되었다. 이 음식이 다시 우리나라에 들어와 중국 음식점과 일본 음식점 모두에서 팔리고 있다.
3. 바닷물은 투명한데 왜 먼바다는 파랗게 보일까?
바닷물을 손으로 퍼 올려서 보면 투명하다. 그런데 왜 먼바다는 파란 걸까? 이렇듯 바다가 각기 다른 색깔인 이유는 빛의 파장 때문이다. 인간은 빛이 사물에 닿았을때 발생하는 파장을 감지하여 색갈로 식별한다. 그리고 파장은 짧으면 짧을수록 파랗게 보인다. 바다로 들어간 빛은 부서지고, 깨지면서 파장이 짧아져서 우리 눈에 먼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이다.
LIFE 상식 (14)
4. 1초의 길이는 어떻게 정해졌을까?
국제 도량형 위원회에서 채택한 단위를 국제단위계라고 한다. 그중 시간의 기본 단위는 1초다. 그런데 1초의 정의는 지금까지 세차례나 바뀌었다. 처음에 1초는 하루 평균 태양일, 즉 적도 위를 움직이는 태양에 지구가 자전하는 시간으로 나눈 것이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지구의 자전 속도가 조금씩 느려진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다시 지구의 공전 주기를 바탕으로 1초를 산출했다. 공전 주기 또한 200년마다 약 0.5초가 짧아진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결국 1967년에야 비로소 절대적인 기준이 정해졌다 세슘 133원자가 발하는 스펙터클이다. 이로써 그 주파수인 약 92억 헤르츠의 길이를 1초로 정의하게 되었다.
5. 밤하늘의 별은 왜 빛날까?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놓은 별들 대부분은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항성이다. 지구가 속한 은하계에는 항성이 약 2000억개 있으며 태양도 그중 하나이다.
그런데 항성이 빛나는 것은 그 자체가 불타고 있어서가 아니다. 간단히 말하면 항성은 뜨거운 가스로 이루어진 구체다. 구체중심부는 중력 때문에 가스 농도가 엄청나게 짙다. 그리고 핵융합이라는 격렬한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가스에 포함된 수소의 원자핵이 4개씩 결합하여 잇달아 헬륨의 원자핵으로 변한다. 이때 빛이나 열 같은 큰 에너지를 방출한다.
즉 별은 거대한 수소폭탄이 끊임없이 폭발하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지구에서도 밝게 빛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LIFE 상식
다음글 - 우주비행사가 우주복을 입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다음글 - 한쪽 귀를 막고 노래하면 왜 음정이 더 잘 맞을까?
다음글 - 녹음된 내 소리와 실제 내 목소리는 왜 다르게 들릴까?
다음글 - 코가 막히면 귀까지 먹먹한 이유는?
다음글 - 여자도 목젖이 있다?
LIFE 상식 (13)
↓↓↓↓↓↓
LIFE 상식 (13) 호텔은 모든 숙박 고객에게 담보를 요구한다?
LIFE 상식 (13) 1. 발이 저릴 때 30초 만에 해결하는 방법? 무릎을 꿇고 오래 앉아 있으면 다리가 저린다. 이는 다리 쪽 혈관에 충분한 혈액이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한의학에선
seeme1004.tistory.com
LIFE 상식 (15) 우주비행사가 우주복을 입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LIFE 상식 (15) 1. 우주비행사가 우주복을 입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우주복은 우주비행사가 우주를 유영하는 동안 체내에 산소를 공급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태양광선 및 운석으로부터 몸을 보호
seeme1004.tistory.com
참고문헌,'상식으로 두뇌의 숨은 힘을 깨워라.1분 생활상식'.별글출판
'과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 상식 (16) 탄 음식을 먹으면 진짜 암에 걸릴까? (0) | 2021.01.05 |
---|---|
LIFE 상식 (15) 우주비행사가 우주복을 입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0) | 2021.01.05 |
LIFE 상식 (13) 호텔은 모든 숙박 고객에게 담보를 요구한다? (0) | 2021.01.04 |
LIFE 상식 (12) 설탕으로 딸꾹질을 멈추는 비법? (0) | 2021.01.04 |
LIFE 상식 (11) 고기먹고 체했을 때는 파인애플이 특효약이다? (0) | 2021.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