눔프의 의미
복지의 확대는 원하면서 이에 필요한 재원은 부담하지 않으려는 현상을 말한다.
국가가 복지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증세가 수반돼야 하는데, 정작 사람들은 복지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하면서도 세금을 더 내는 것에는 반대한다.
즉, 눔프(NOT OUT OF MY POCKET) 현상은 복지 혜택은 받길 원하지만, 부담하는 것은 싫어하는 이중성을 말하는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13년 10대 트렌드 중 하나로 눔프 현상을 들었다.
이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정부는 증세 없이 복지 공약을 이행하려고 하지만, 재원이 부족할 경우 증세가 이뤄져야 한다.
증세가 추진되면 자기부담을 최소화하려는 '눔프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눔프 현상의 대표적인 예로는 2010년부터 지방자치단체와 정부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경로당 난방비 지원 갈등, 2013년부터 시작된 0~5세 무상보육 등을 들 수 있다. 지역 내 혐오 시설 진입을 반대하는 '님비(NIMBY)현상' 도 비슷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 님비와 핌피 님비(NIMBY)는 'Not in my backyard'를 줄인 말로, 쓰레기 처리장, 화장장, 교도소, 장애인 시설 등과 같은 시설이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들어오는 것을 반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반대로 자신이 살소 있는 지역에 이득이 될 것이라 생각하느 시설을 서로 들어오게 하려는 현상을 '핌피(PIMFY, Please in my front yard)'라고 한다. 이 두가지는 '지역 이기주의'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이기주의라고 말하지만, 글쓴이도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건 어쩔수 없는 사람의 심리인것 같다.
(출처. 알아두면 쓸데 있는 3분 생활 경제 상식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칼로레아.. 한국에도 국제바칼로레아 도입과 실행 (2) | 2023.06.18 |
---|---|
다크웹 딥웹 적발한 계기 토르웹브라우저로 접속 (2) | 2023.06.17 |
넷카시즘 매카시즘 사례 유래 (2) | 2023.06.15 |
전세 대출 금리인하요구권 서류 은행에 따라 다른 결과 통보기간 (3) | 2023.06.14 |
기준금리 시장금리 장기금리 단기금리 장기금리 이자율 상관관계 (2) | 2023.06.13 |
댓글